제품소개
Product Descriptions
-
현대시 창작론ㆍ제1강시란 무엇인가? ㆍ제2강대상의 인식과 거리 ㆍ제3강대상에 대한 표현 ㆍ제4강시 언어의 특징 ㆍ제5강시의 이미지 ㆍ제6강시 창작 원리 - 비유 ㆍ제7강비유의 종류와 활용 ㆍ제8강화자와 어조 ㆍ제9강화자와 청자의 존재 유형 ㆍ제10강시 세계의 3단계 - 감각, 정서, 예지 ㆍ제11강행(行)과 연(聯) 만들기 ㆍ제12강서정시의 장르적 특징(1) ㆍ제13강창작 실제 ㆍ제14강서정시의 장르적 특징(2) ㆍ제15강자유 토론 수업 ㆍ제16강여성시(페미니즘)의 세계
-
한시 미학의 이해ㆍ제1강 한시의 언어 미학 - 한시의 현대적 소통의 필요성 - 한시의 풍부한 표현과 선인의 숨결 읽기 - 한시(漢詩)는 왜 읽는가? - 예시: 이상호의 「압력솥」, 두목(杜牧)의 「추석 秋夕」, 고조기의 「山莊雨夜」 - 문학 작품의 감상법 ㆍ제2강 그림과 시: 그리지 않고 그리기, 말하기 - 예시: 이달의 - - 동양화―그리지 않고 그리기 - 입상진의立像盡意 - 화가는 그리지 않고 그리고, 시인은 말하지 않고 말한다 ㆍ제3강 입상진의론(立象盡意論) 1 - 시인의 화법에 대한 비유 - 영양이 뿔을 걸듯/장자의 /산단운련(山斷雲連) - 예시: 서거정의 「독좌 獨坐」, 양사언이 백광훈에게 보낸 편지, 백광훈의 「별처가 別妻家」, 신광수의 「협구소견 峽口所見」 - 동양의 예술 정신: 진(晋) 나라 때 환이(桓伊)의 일화 ㆍ제4강 입상진의론(立象盡意論) 2 - 입상은 어떻게 진의가 되는가? - 예시: 이백의 「산중문답 山中問答」, 최유청의 「잡흥 雜興」, 『장자 莊子』의 「천도 天道」편, 도연명의 「음주 飮酒」 - 언어의 한계: 언불진의(言不盡意)/백아(伯牙)의 절현(絶絃)/불교의 일화 - 옛 성인들의 언어 한계 극복법 - 에서 까지: 박지원의 , 허균의 「한정록 閑情錄」, 왕유의 「산수결 山水訣」, 연암의 「종북소선서 鍾北小選序」 ㆍ제5강 보여주는 시, 말하는 시 - 唐詩와 宋詩 - 와 - 예시: 이수광의 , 이달의 , 박목월의 와 예이츠의 , 김시습의 , 이황의 - 말하기와 보여주기의 차이 ㆍ제6강 버들을 꺾는 뜻은: 한시의 정운미(情韻) - 한시의 관습적 표현 - 예시: 도연명, 정지상의 , 굴원(屈原)의 , 강엄(江淹)의 , 무원형(武元衡)의 - 한시의 기승전결 구성 - 버들을 꺾는 마음: 백호 임제(林悌)의 , 홍랑의 시조 - 가을 부채에 담긴 사연: 권벽의 - 난간에 기대어: 김육(金堉)의 딸의 시 , 이경(李璟)의 , 이욱(李煜)의 - 저물녘의 피리 소리: 신광한의 시 , 죽림칠현의 고사 - 물은 동쪽으로 흐른다 - 원숭이 울음 소리 ㆍ제7강 한시의 용사와 표현법 - 한시의 용사법(用事法) 이해 - 왜 한시에는 표절 시비가 없는가? - 무엇이 한시의 성패를 좌우하는가? - 한시의 제약: 압운과 평측 - 예시: 이혼(李混)의 , 도연명의 , 李瀷의 , 강희맹(姜希孟)의 , 김유의 - 환골탈태의 미학 ㆍ제8강 즐거운 오독: 모호성에 대하여 - 왜 이 발생하는가? - 모호성의 사례들: 김윤식의 , [상인호 불문마, 傷人乎? 不問馬] - 윌리엄 엠슨의 - 오랑캐 땅의 화초 - 개가 짖는 이유: 이경전(李慶全)의 강아지 시 - 예시: 이달의 , 포은 정몽주의 , 이달의 문답시 ㆍ제9강 정경론: 정경의 결합 방식 다섯 가지 - 정(情)과 경(景) - 정(情)과 경(景)의 조합 방식: 유협의 『문심조룡 文心雕龍』의 「물색 物色」 - 정과 경의 사례: 명나라 사진의 『사명시화』, 청나라 왕부지의 『석당영일서론』 - 정과 경이 만나는 결합: 1) 경이 앞서고 정이 생김, 2) 정이 앞서고 경이 생김, 3) 정과 경의 선후를 나타내기 힘듦, 4) 정을 배제하고 경만 가지고 시를 씀, 5) 경을 배제하고 정만 가지고 시를 씀 - 예시: 이현의 「과강천구장 過江川舊莊」, 이민성의 「재거즉사 齋居卽事」, 박은의 「야와송시유감 夜臥誦詩有感」, 권필의 「한식 寒食」, 이필운의 부인 남씨의 애도시 ㆍ제10강 시안론(詩眼論), 일자사(一字師) 이야기: 시안과 티눈 - 한 글자를 찾아서―화룡점정(畵龍點睛)의 위치 - 예시: 왕안석(王安石)의 시, 진종이(陳從易)의 일화, 이민구의 금강산 시, - 한 수의 시에 시안은 어디 있는가? - 일자사(一字師)의 미감 원리: ① 의미의 중복을 피하라, ② 시사(詩思)의 온유돈후를 중시하라, ③ 여운을 남기되 앞 뒤 호응을 중시하라 ㆍ제11강 작시, 즐거운 괴로움 - 예술과 광기: 불광불급(不狂不及) - 사례: 최흥효의 사연, 화가 이징(李澄)의 사연, - 작시와 관련된 이야기: 유희이의 「백두음 白頭吟」, 맹규의 시 - 작시의 즐거운 괴로움을 노래한 시와 표현들: 두보, 노연양, 두목, 이백, 고문위, 제기, 기양, 시벽(詩癖), 시마(詩魔) - 예시: 이규보의 「구시마문 驅詩魔文」 ㆍ제12강 한시의 쌍관의 - 예시: 조선 중기 김일손의 시, 김삿갓의 말장난 시, 기생 소백주의 시조 - 한자의 말장난(pun): 견우와 소도둑, 유우석의 「죽지사 竹枝詞」, 허난설헌의 「채련곡 采蓮曲」 - 뻐꾹새 울음 속에 담긴 사회학: 고려 때 정윤의 「서강성현사 書江城縣舍」,< 대한매일신보>(1908)에 실린 「의장청조 依杖聽鳥」 - 한시와 금언체 시의 발달 - 우리 옛 그림의 ㆍ제13강 잡체시의 세계 - 글자로 쌓은 탑, 층시 또는 보탑시 - 예시: 고려 때 승려 시인 혜심의 시, 『청춘』 (1915)의 「부벽루기」, 조지훈의 「백접 白蝶」 - 회문시, 바로 읽고 돌려 읽고: 바둑판 모양, 거북이 모양, 방사형 등 - 잡체시의 실험정신―수시(數詩): 조선 전기 조수의 「수시」 - 구슬로 꿴 고리―장두체 - 파자 놀음과 탁자시(坼字施): 김삿갓의 시 ㆍ제14강 파격시의 세계 - 희작시(장난시)의 창작 저변 이해와 그 사례 - 김삿갓의 경우 - 한시 최후의 광경: 언문 풍월(諺文 風月) - 언문 풍월의 예시: 「부채」 - 의식의 변화와 내용의 변화 ㆍ제15강 관물론: 유아지경인가, 무아지경인가 - 조식의 무제시 - 이언적의 무위 - 관물론(觀物論) 또는 바라봄의 시학 - 지렁이의 머리는 어느 쪽인가? - 저 매화에 물을 주어라: 이덕홍의 「퇴계선생고정기」 - 예시: 송시열의 「금강산」, 김시습의 관물, 권필의 「정중음 靜中吟」 - 유아지경과 무아지경: 청나라 왕국유 - 무아지경의 예시―당나라 왕유의 「서사 書事」, 『시경』 의 「채미」, 박목월의 「윤사월」, 서정주의 「영산홍」 - 속인과 달사―박지원의 「능양시집서」 - 소결론: 깨달음이 없이는… ㆍ제16강 통변론(通變論): 한시 미학의 현재적 의미 - 통변론의 정신: 상동구이(尙同求異) - 그때의 지금인 옛날, 후세의 옛날인 지금 - 사기의 불사기사(師其意 不師其辭) 정신 - 통변―의 가치 - 예시: 연암 박지원의 「영처고서 處稿序」, 김택영의 「잡언」, 이충무공의 배수진, 연암 박지원의 「답경지 答京之」 - 부뚜막 이야기: ① 제나라 군사 한빈, ②후한의 우승경, - 연암의 「답창애 2 答蒼涯 二」: “도로 눈을 감아라” - 문학의 길
-
소설창작론ㆍ제1강 무엇에 대해 쓸 것인가 - 소설과 이야기의 다른 점 - 재미있는 이야기가 되려면? - 소설의 주제와 스토리 구성 - 명작에 나타난 작품의 주제 - 무엇에 대해 쓸 것인가? - 작가의 주제는 작가 자신이다 - 무엇을 쓰기 위해 작가가 되려고 하나? - 보편성과 진실의 획득 문제: 도스토예프스키의 「죄와 벌」의 경우 ㆍ제2강 소설의 주제와 구성 요소 - 작품 분석: 이창동 작 「녹천에는 똥이 많다」 - 나의 정체성 찾기 - 작가의 의도와 진실 찾기: 이창동의 의 경우 - 진실 드러내기와 새로운 억압 기제 - 강사의 경험담―중편 를 쓰기까지: 매음굴과 어느 여학생의 이미지 ㆍ제3강 소설의 플롯에 대해 - 작품 분석: 김동인의「감자」 - 플롯의 2대 요소: 과 - 인물은 로부터 나온다 - 소설에서 인물은 어떤 구실을 하는가 - 소설 「감자」의 인물 구성: 복녀 - 김동인의 「감자」 고쳐쓰기: 복녀, 복녀 남편, 왕서방의 성격 개조 ㆍ제4강 인물을 제대로 형상화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? - 작품 분석: 서정인의 「강」 - 인물과 이야기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 - 「강」의 감동은 어디서 나오는가? - 주제: 상식이 전도된 세계에 대한 당대적 증언 - 훼손된 세계의 훼손된 인물의 상징 - 「강」의 마지막 문장 ㆍ제5강 소설의 공간적 배경과 현실 체험의 소설화 - 김동인의 「감자」, 서정인의 「강」의 공간적 배경 - 어떤 공간적 배경이 더 효과적인가? - 공간적 배경에 따라 성격과 이야기 전개가 달라진다 - 체험의 소설적 형상화는 어떻게 가능한가: 강사의 경우―「새떼」 - 불필요한 문장, 인물, 묘사를 철저히 배제하라 - 하나의 단편에서 주제는 한 가지뿐이다 ㆍ제6강 소설의 시점에 대하여(1): 1인칭 시점과 1인칭 관찰자 시점 - 플롯: 주제를 이야기하기 위한 방법의 총체 - 어떤 을 택하느냐에 따라 내용이 달라진다 - 과 분류 방법 - 시점 분류의 4가지 방법 - 1인칭 시점: 사건과 인물의 내면 탐구, 이상(李箱)의 소설 - 1인칭 관찰자 시점의 특징: 전영택의 , 주요섭의 ㆍ제7강 소설의 시점에 대하여(2): 3인칭 시점과 3인칭 관찰자 시점 - 3인칭 시점의 서술자는 작가 자신이다 - 3인칭 시점은 갈등과 화해 관계 포착에 효과적이다 - 황순원, 염상섭, 채만식, 전광용, 서정인의 「강」 - 전지적 작가 시점의 장점 -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주의할 점들 - 가장 자연스러운 시점을 선택하라 - 문제는 데뷔가 아니라 작품이다 ㆍ제8강 기성 작가 작품 자세히 읽기(1) - 강경애의 「원고료 이백원」 - 최서해의 「홍염」 - 사회적 진실과 개인적 진실 - 문학과 권력의 관계: 가장 감동적일 때 가장 선동적이다 - 단순한 인물 배치와 이야기 구성, 엉뚱한 결말: 「홍염」의 경우 ㆍ제9강 기성 작가 작품 자세히 읽기(2) - 전광용의 - 한 인물을 통한 주제 드러내기 - 인물 ‘이인국’ 설정: 지식인의 한 전형 - 냉정하고 강렬한 비판정신 - 시간의 효과적인 요약: 작품 밀도와 주제의 부각 - 이 작품의 감춰진 주제: “너희들 이인국처럼 살고 싶으냐?” ㆍ제10강 습작품 자세히 읽기 - 습작품 「임신」 - 작품의 주제 - 주제 부각을 위해 작가가 구사한 방법 - 작위적 인물 설정과 불필요한 삽화 - 공과 시간을 들여 고쳐쓰기를 반복하라 ㆍ제11강 기성 작가 작품 자세히 읽기(3) - 김승옥의 - 단순한 인물 배치와 이야기 구성 - 인물 묘사가 어떻게 소설의 주제를 전달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가 - 간결하고 정확한 문장 - 주인공이 따로 없는 소설: 김씨, 안씨, 아저씨 - 주제 의식: 인간 관계의 불능성, 인간 관계의 불모성 - 단편 소설의 미학 ㆍ제12강 강의 총정리 - 전체 강의 요약 - 소설 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에 대하여 - 과 이란 무엇인가 - 자신의 고유한 생각을 담아라 - 말[言]에 대한 상식을 의심하라
-
소설창작론ㆍ제1강 소설은 옛날 이야기와 무엇이 다른가 - 옛날 이야기와 소설은 무엇이 다른가? - 현대소설의 주인공: 은희경의 『새의 선물』 - 벽초 홍명희의 대하소설 『임꺽정』의 싸움 장면 - 강의 자료: 소설에 대한 열 가지 질문―한 편의 소설, 구상에서 탈고까지 ㆍ제2강 소설의 발생 과정과 특징 - 소설(小說)의 는 말은 무슨 뜻을 담고 있나? - 소설의 역사 개괄 - 갈등의 등장 사례: 도스토예프스키의 『죄와 벌』 - 제1차 세계대전 이후 ‘불안 심리’의 보편화: 프란츠 카프카, 제임스 조이스 - 인류의 황금시대 동경: G. 루카치의 『소설의 이론』 ㆍ제3강 소설의 발생 과정과 특징 - 소로우의 『월든』 - 김남일의 「명동부루스」(1988) - 소설가 방현석의 「내딛는 첫발은」(1988)의 결말 - 글쓰기 좌절 이후, 광주 달방에서의 체험 ㆍ제4강 무엇을 쓰는가Ⅰ - 미하일 숄로호프의 『고요한 돈강』(Tikhii Don, 1928) - 김영현의 단편 「벌레」(1989)와 카프카의 「변신」 - 젊은 작가들의 글쓰기 이전 시절: 김영하, 하성란, 전성태, 김종광 - 어린 시절 기억 훈련: 책에 얽힌 사연들 - 오규원의 시 「한잎의 女子 1」 읽기 ㆍ제5강 무엇을 쓰는가Ⅱ - 작가 김남일의 체험담 - 왜 소설가는 쓸데없는 것에 관심을 갖는가? - 송영의 「비련」(1986) ㆍ제6강 무엇이 소설이 되는가Ⅰ - 소설 「영혼과 형식」이 씌어지기까지 - 소설 「영혼과 형식」을 쓰기까지 - 자작소설 「영혼과 형식」 집중 분석 ㆍ제7강 무엇이 소설이 되는가Ⅱ - 시인 최승자의 시 「일찍이 나는」 감상 - 말[言]에 대한 작가적 관심 필요: 박태순의 「밤길의 사람들」 - 무엇을 쓰고 싶은가? ㆍ제8강 소설의 첫머리와 시점 - 「천하무적」, 「무정천리」를 쓰기까지 - 소설 첫 문장의 사례들: 제4회 창비신인소설상 당선작 2편 -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사례들: 「사랑 손님과 어머니」, 「치숙」, 『장마』 - 이문구의 소설 「日落西山―관촌수필1」(1972) ㆍ제9강 소설 형식과 문체 -서술 형식의 다양한 사례들 - 기성 작가들의 문체 미학: 박경리의 『토지』, 오정희의 「중국인 거리」, 신경숙의 「부석사」 - 박완서의 문체 미학: ‘목마른 계절’, ‘티 타임의 모녀’ - 황석영의 문체 미학: 「삼포 가는 길」 - 박상륭의 문체 미학: 「南道 1」 - 이문열 vs 이문구 문체 비교: 「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」 vs 『관촌수필』 - 문장 훈련 Tip ㆍ제10강 소설의 첫머리와 주인공 -소설쓰기란 무엇인가 - 소설과 소설 아닌 것의 차이 - 소설속 인물 묘사 - 이문열의 「필론의 돼지」 - 송기원의 「끝순이 누님」(2001), 「바보 막둥이」 ㆍ제11강 소설의 구성 -문장 연습 예 - 시인 신경림의 산문 「노을에 대하여」 - 김남일의 기행기 「사막의 별, 뚠황(敦煌)」 - 소설 구성 방법 - 교차 시점의 사례: 공지영의 『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』, 김남일의 『청년일기』(1987) - 귀향형 소설의 한 모델: 현기영의 「순이삼촌」 ㆍ제12강 소설 구성 워크숍- 「순이삼촌」 집중 분석 -소설 구성시 유의해야 할 점 - 현기영의 「순이삼촌」 발췌 - 참고자료: 「순이삼촌」 필화 사건에 대한 ‘작가의 말’ - 참고자료: 문학평론가 고영직의 「망각에 도전하는 작가의 운명」 - 로드로망 사례: 윤후명의 「여우사냥」, 윤대녕의 「신라의 푸른 길」, 가싼 카나파니의 「하이파에 돌아와서」